[토요와이드] 中방문 비건 '빈손' 귀국…북미 접촉 무산<br /><br /><br />북한이 정한 '연말시한'을 앞두고 북미 간 긴장이 계속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 특별대표가 중국과 북미 대화 재개를 모색했지만, 기대를 모았던 북미 간 접촉은 무산됐습니다.<br /><br />이시간 전문가와 함께 관련내용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김열수 한국군사문제연구소 안보전략실장, 정대진 아주대 통일연구소 교수 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가 한국, 일본, 중국으로 이어진 동아시아 방문 일정을 마무리하고 귀국길에 올랐습니다. 애초 일정에 없던 1박 2일의 중국 체류 기간, 북미 간 깜짝 회동이 성사될지가 최대 관심사였는데 반전은 없었죠?<br /><br /> 북한은 비건 대표의 회동 제안에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습니다. 공개적으로 제안을 걷어차지는 않았지만, 그렇다고 협상 복귀를 택하지는 않았는데요. 어떤 의도로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비건 대표는 뤄자오후이 중국 외교부 부부장과 만나 북한 비핵화 해법을 논의했습니다. 두 사람의 만남 이후 중국 외교부는 북한과 미국이 서로 마주보고 신뢰를 구축해야 한다며 다시 접촉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는데요. 어떤 메시지로 해석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비건 특별대표가 귀국길에 오르고 난 뒤 트럼프 대통령이 시진핑 주석과 통화했습니다.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과 무역 합의에 대해 아주 좋은 대화를 했다고 밝힌 뒤 북한도 논의했다고 언급했는데요. 직접 시 주석에게 역할을 요청했을 가능성도 있을까요?<br /><br /> 24일 중국 청두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에서 6자 회담 같은 다자 협의 체제가 논의될 수 있다는 중국 관영 언론의 보도가 나왔습니다. 6자회담이 열린다면 의장국이 중국이고요. 사실상 중국이 주도권을 쥐는 건데, 성사될 가능성이 있을까요?<br /><br /> 이런 가운데, 미 공군은 지상감시정찰기를 이용한 대북 감시 비행을 재개했습니다. 38노스에 따르면 북한 동창리 미사일 발사대에서 발사준비 흔적까지는 아니지만, 움직임이 포착됐는데요. 어떤 상황으로 이해할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북한이 24일 전후로 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를 개최할 것으로 전망이 되는데요. 북미협상이 끝내 돌파구를 찾지 못하면서, 강경노선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커졌다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죠? '새로운 길'의 키워드 어떻게 예상하세요?<br /><br /> 북한식 자력갱생은 더욱 강조되지 않겠냐는 전망입니다. 김정은 표 경제건설 전략이 목표로 한 내년을 앞두고 북한의 GDP는 지난 1997년 이후 최저치가 예상되는 상황인데요. 중국·러시아와의 경제 협력으로 활로를 모색할까요?<br /><br /> 김정은 위원장이 신년사나 이달 하순 예고된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'비핵화 협상 중지'를 선언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. 잇달아 대미 비난 담화를 추가로 내지 않는 것은 이를 대비한 전략적 침묵이라는 건데요.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북한이 제기한 북미협상 연말 시한이 열흘도 남지 않은 가운데 한중일 정상회담과 한중 정상회담이 마지막 변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. 이번 회담에서 양국 정상이 비핵화 협상의 파국을 막을 묘안을 내놓을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